전체 글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차이점카테고리 없음 2023. 7. 21. 10:58
프레임워크란? 개발을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구조, 규칙,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 모음이다. 쉽게 말해,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기본 뼈대와 구조를 제공하여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고 표준화하는 도구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서술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개념 구조이다. 간단히 뼈대, 골조, 프레임워크라고도 한다. 이렇게 매우 폭넓은 정의는 이 용어를 버즈워드로서, 특히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 위키백과 라이브러리란? 재사용 가능한 코드 모음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 클래스, 메서드 등의 집합을 제공한다. 개발자들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자주 사용되는 작업들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
-
parameter와 argument의 차이점카테고리 없음 2023. 7. 20. 00:35
매개변수(parameter)란?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 매개변수란 변수의 특별한 한 종류로서, 함수 등과 같은 서브루틴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 중 하나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서브루틴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들을 전달인자라고 부른다. - 위키백과 인자(인수)(argument)란?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넘기는 변수값 인수(引數)와 인자(引子)는 함수에게 넘겨주기 위해서 끌어오는(引) 값(數;子) 이라는 의미로 같은 말이다. 블로그 글을 찾아봤는데 알고있던 개념도 헷깔리는 글들이 많았다. 그치만 인수와 인자는 같은말이지만 매개변수와 인자(인수)는 같은말이 아니다.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function plus (num1, num2) { return num1 + nu..
-
Restful API카테고리 없음 2023. 7. 19. 19:34
REST란?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것을 의미한다.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RUD Operation이란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로 REST에서의 CRUD Operation 동작 예시는 다음과 같다. REST의 특징 Server-Client(서버-클라이언트 구조) RES..
-
웹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렌더링되는 과정카테고리 없음 2023. 7. 19. 18:49
브라우저란? 인터넷에서 웹 서버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때 주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한다. 이 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도구를 바로 '브라우저' 혹은 '웹 브라우저' 라고 부른다. 한마디로 브라우저는 제어판과 같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실행하게되면 주소창을 입력할 수 있는 도구가 나타나게 되는것이다. 브라우저 렌더링 순서 1. 서버에 리소스 요청 서버에 리소스 요청은 주로 HTML문서 외의 추가 리소스(이미지,CSS파일, JS)를 가져오기 위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를 통해 오고 가는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모두 0과 1로 이..
-
모던 자바스크립트 (스터디) 10장카테고리 없음 2023. 7. 18. 22:34
객체 리터럴 객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 이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된 집합체다. 프로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 메서드 :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 객체와 함수 함수로 객체를 생성하기도 하며 함수 자체가 객체이기도 하다. 함수와 객체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개념이다.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객체지향 언어는 클래스를 사전에 정의하고 필요한 시점에 new연산자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객체를 생성한다. 💡인스턴스란?..
-
모던 자바스크립트 (스터디) 9장카테고리 없음 2023. 7. 16. 21:10
타입 변환이란? 개발자의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 이라 한다. var x = 10; // 숫자 -> 문자열 var str = x.toString();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console.log(typeof x, x); // number 10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는걸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 이라 한다. var x = 10; var str = x + '' ;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console.log(typeof x, x) ; // number 10 명시적, 암묵적 타입 변환 모두 기존 원시 값..
-
모던 자바스크립트 (스터디) 8-3~5장카테고리 없음 2023. 7. 15. 00:37
반복문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참인 경우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그 후 조건식을 다시 평가하여 여전히 참인 경우 코드 블록을 다시 실행하고 조건식이 거짓일 때까지 반복한다. for 문 조건식이 거짓으로 평가될 때까지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한다. for(var i = 0; i < 2; i++){ console.log(i); } // 0 // 1 for 문의 실행 순서 1. for 문을 실행하면 var i = 0이 실행된다. 변수 선언문은 단 한 번만 실행된다. 2. 변수 선언문의 실행이 종료되면 조건식이 실행된다. 현재 i 변수의 값은 0이므로 조건식의 평가 결과는 true다. 3.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true이므로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증감문으로 실행 흐름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 블록으로 실행 흐..
-
모던 자바스크립트 (스터디) 8-1~2장카테고리 없음 2023. 7. 14. 16:35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할 때 사용한다. 제어문을 사용하면 순차적으로 흐르던 코드의 실행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코드의 실행 순서가 변경된다는 것은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직관적인 코드의 흐름을 혼란스럽게 만들어서 가독성이 좋지 않은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블록문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이며, 코드 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블록문은 일반적으로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떄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블록문은 언제나 문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성을 갖기 때문에 블록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것에 주의해야 한다. { var foo = 10; } 조건문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 주어진 조건식의..